학술연찬회 제43차 정기총회 및 2016년도 춘계학술연찬회 (2016년 3월 26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댓글 0건 조회 327회 작성일 21-08-11 13:16본문
상호주체성 이론, 관계적 정신분석 그리고 도정신치료
Intersubjectivity Theory, Relational Psychoanalysis
& Taopsychotherapy
▶ 일 시 : 2016년 3월 26일 (토) 학술연찬회 오후 1시
정기 총회 오후 5시 30분
▶ 장 소 : 서울대학교치과병원 8층 대강당
▶ 평 점 : 3점 (대한의사협회 연수평점)
■ 초대합니다
안녕하십니까? 이제 봄이 성큼 다가오고 있습니다.
새해 첫 연찬회는 현시대 서양 정신분석의 대표적인 추세를 공부하는 자리로 마련하였습니다. 서양의 정신치료는 환자의 주관적 감정, 관계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발전해 오고 있으며 서양문화의 저변에 깔려있는 이론과 개념, 자타 분리와 대립, 조작과 착취에 대한 선호를 벗어나 ‘사물에 대한 전체적, 통합적 이해’, ‘주객합일을 통한 진정한 관계 형성’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작고하신 素巖 李東植 선생께서는 이러한 서양 정신분석과 정신치료가 추구하고자 하는 궁극적 지향점은 동양의 道이며 최고의 정신건강은 주체성의 획득임을 주장해오셨습니다.
본 연찬회에서는 현재 서양에서 주장하고 있는 ‘상호주체성이론’과 ‘관계적 정신분석’의 근본적인 주제인 주체성과 주객 문제를 관련 분야의 전문가이신 황설중 교수님을 모시고 특강을 들은 후, 정신분석 내에서의 역사적 배경을 검토하고 문헌 속에 소개되어 있는 사례들을 통하여 실제 치료 상황에서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합니다.
이번 자리를 통하여 서양에 대해서 더욱 철저히 공부하는 계기가 마련되어 앞으로 道정신치료에 대한 이해가 더욱 깊어지기를 기원하오니 부디 많은 분들이 참여하시여 함께 해주시기를 부탁드리며 이에 진심으로 초대하는 바입니다.
2016년 2월
한국정신치료학회 회장 임 효 덕
■ 순 서
사회 : 이동우 (학술부장, 인제의대)
12:30– 대회 등록 및 접수
1:00-1:05 개회사 : 임효덕 (한국정신치료학회 회장)
제 1 부 초청 특강 및 연제 발표 좌장 : 박용천 (한양의대)
1:05–1:10 격려사 : 김종호 (한국정신치료학회 이사장)
∎ 초청 특강
1:10-1:55 주체성의 현대철학적 이해 : 주관과 객관을 넘어서 황설중 (대전대학교)
∎ 연제 발표
1:55-2:20 상호주체성이론, 관계적 정신분석의 역사적 배경 임효덕 (경북의대)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Intersubjectivity Theory & Relational Psychoanalysis
2:20-2:45 상호주체성이론의 치료사례 개관 신지영 (서강대)
An Overview of the Case of Intersubjectivity Theory
∎ 지정 토론
2:45–2:55 최태진 (대구가톨릭의대)
∎ 전체 토론
2:55-3:10 질의 및 응답
3:10-3:30 휴 식
제 2 부 소암 이동식 선생의 도(道)정신치료 사례 연구 좌장 : 임효덕 (경북의대)
∎ 신체화와 행동화를 주소로 하는 남자 환자 사례
3:30-3:40 사례 개요 및 경과 소개 우정민 (대구가톨릭의대)
3:40-4:30 면담 녹음 청취
∎ 전체 토의
4:30-5:00 자유 토론
Intersubjectivity Theory, Relational Psychoanalysis
& Taopsychotherapy
▶ 일 시 : 2016년 3월 26일 (토) 학술연찬회 오후 1시
정기 총회 오후 5시 30분
▶ 장 소 : 서울대학교치과병원 8층 대강당
▶ 평 점 : 3점 (대한의사협회 연수평점)
■ 초대합니다
안녕하십니까? 이제 봄이 성큼 다가오고 있습니다.
새해 첫 연찬회는 현시대 서양 정신분석의 대표적인 추세를 공부하는 자리로 마련하였습니다. 서양의 정신치료는 환자의 주관적 감정, 관계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발전해 오고 있으며 서양문화의 저변에 깔려있는 이론과 개념, 자타 분리와 대립, 조작과 착취에 대한 선호를 벗어나 ‘사물에 대한 전체적, 통합적 이해’, ‘주객합일을 통한 진정한 관계 형성’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작고하신 素巖 李東植 선생께서는 이러한 서양 정신분석과 정신치료가 추구하고자 하는 궁극적 지향점은 동양의 道이며 최고의 정신건강은 주체성의 획득임을 주장해오셨습니다.
본 연찬회에서는 현재 서양에서 주장하고 있는 ‘상호주체성이론’과 ‘관계적 정신분석’의 근본적인 주제인 주체성과 주객 문제를 관련 분야의 전문가이신 황설중 교수님을 모시고 특강을 들은 후, 정신분석 내에서의 역사적 배경을 검토하고 문헌 속에 소개되어 있는 사례들을 통하여 실제 치료 상황에서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합니다.
이번 자리를 통하여 서양에 대해서 더욱 철저히 공부하는 계기가 마련되어 앞으로 道정신치료에 대한 이해가 더욱 깊어지기를 기원하오니 부디 많은 분들이 참여하시여 함께 해주시기를 부탁드리며 이에 진심으로 초대하는 바입니다.
2016년 2월
한국정신치료학회 회장 임 효 덕
■ 순 서
사회 : 이동우 (학술부장, 인제의대)
12:30– 대회 등록 및 접수
1:00-1:05 개회사 : 임효덕 (한국정신치료학회 회장)
제 1 부 초청 특강 및 연제 발표 좌장 : 박용천 (한양의대)
1:05–1:10 격려사 : 김종호 (한국정신치료학회 이사장)
∎ 초청 특강
1:10-1:55 주체성의 현대철학적 이해 : 주관과 객관을 넘어서 황설중 (대전대학교)
∎ 연제 발표
1:55-2:20 상호주체성이론, 관계적 정신분석의 역사적 배경 임효덕 (경북의대)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Intersubjectivity Theory & Relational Psychoanalysis
2:20-2:45 상호주체성이론의 치료사례 개관 신지영 (서강대)
An Overview of the Case of Intersubjectivity Theory
∎ 지정 토론
2:45–2:55 최태진 (대구가톨릭의대)
∎ 전체 토론
2:55-3:10 질의 및 응답
3:10-3:30 휴 식
제 2 부 소암 이동식 선생의 도(道)정신치료 사례 연구 좌장 : 임효덕 (경북의대)
∎ 신체화와 행동화를 주소로 하는 남자 환자 사례
3:30-3:40 사례 개요 및 경과 소개 우정민 (대구가톨릭의대)
3:40-4:30 면담 녹음 청취
∎ 전체 토의
4:30-5:00 자유 토론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