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연찬회 제42차 정기총회 및 2015년도 춘계학술연찬회 (2015년 3월 28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댓글 0건 조회 302회 작성일 21-08-10 17:17본문
한국인의 주체성과 도(道)정신치료
Korean Juchaeseong(Subjectivity) & Taopsychotherapy
▶ 일 시 : 2015년 3월 28일 (토) 정기총회 오전 11시
학술연찬회 오후 1시 30분
▶ 장 소 : 서울대학교치과병원 8층 대강당
■ 초대합니다
안녕하십니까?立春大吉 建陽多慶!!
2015년도 한국정신치료학회 춘계학술연찬회를「한국인의 주체성과 도정신치료」라는 주제로 개최하려고 합니다.
‘도정신치료’의 탄생 배경에는 한국인의 자존심과 주체성의 회복을 위해 노력하신 소암 이동식 선생의 염원이 깃들어 있습니다.
금번 학술연찬회는 제1부에서 한국 고대사를 깊이 연구하고 계신 정형진 선생님의 강연,「한국 전통문화의 뿌리」를 시작으로, 「외국인이 경험한 한국문화의 특성」(서강대 장재홍 교수), 「우리말의 특성과 정신치료적 의의」(경북대 임효덕 교수)의 연제 발표가 있습니다. 제2부는 소암 선생님의 치료사례 청취로, 특히 환자와의 공감을 통한 주체성에 관한 자유로운 토론과 교육이 어떻게 환자에게 치료적으로 작용하는지를 생생하게 목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정신건강의 핵심은 주체성의 회복입니다. 본 학술연찬회를 통하여 우리의 주체성을 다시 한 번 점검하면서 소암 이동식 선생께서 주창하신 ‘도정신치료’의 의의를 깊이 되새기고자 합니다.
부디 많은 관심과 참여로 풍성한 학술연찬회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2015년 2월
한국정신치료학회 회장 김종호
■ 순 서
사회 : 이동우 (학술부장, 인제의대)
1:00 – 대회 등록 및 접수
1:30 - 1:35 개회사 : 김종호 (한국정신치료학회 회장)
제 1 부 초청 특강 및 연제 발표 좌장 : 최태진 (대구가톨릭의대)
최해림 (해인심리상담연구소)
1:35 – 1:40 격려사 : 강석헌 (한국정신치료학회 이사장)
∎ 초청 특강
1:40 - 2:30 한국 전통문화의 뿌리 정형진 (현우역사문화연구원)
∎ 연제 발표
2:30 - 3:00 외국인이 경험한 한국문화 장재홍 (서강대)
3:00 - 3:30 우리말의 특성과 정신치료적 의의 임효덕 (경북의대)
∎ 지정 토론
3:30 – 3:40 백영석 (원광의대)
∎ 질의응답 및 토론
3:40 - 4:00
4:00 - 4: 20 휴 식
제 2 부 소암 이동식 선생의 도(道)정신치료 사례 연구
좌장 : 김종호 (김종호정신건강의학과의원)
김연 (김연심리상담센터)
∎ 주체성에 대한 교육을 치료에 활용한 사례
(과다한 잡념을 주소로 하는 35세 남자환자)
4:20 - 4:30 사례 개요 및 경과 소개 신지영 (서강대 대학원)
4:30 - 5:20 면담 녹음 청취
5:20 - 5:30 치료 사례 해설 정성철 (정성철정신건강의학과의원)
∎ 전체 토의
5:30 - 6:00
Korean Juchaeseong(Subjectivity) & Taopsychotherapy
▶ 일 시 : 2015년 3월 28일 (토) 정기총회 오전 11시
학술연찬회 오후 1시 30분
▶ 장 소 : 서울대학교치과병원 8층 대강당
■ 초대합니다
안녕하십니까?立春大吉 建陽多慶!!
2015년도 한국정신치료학회 춘계학술연찬회를「한국인의 주체성과 도정신치료」라는 주제로 개최하려고 합니다.
‘도정신치료’의 탄생 배경에는 한국인의 자존심과 주체성의 회복을 위해 노력하신 소암 이동식 선생의 염원이 깃들어 있습니다.
금번 학술연찬회는 제1부에서 한국 고대사를 깊이 연구하고 계신 정형진 선생님의 강연,「한국 전통문화의 뿌리」를 시작으로, 「외국인이 경험한 한국문화의 특성」(서강대 장재홍 교수), 「우리말의 특성과 정신치료적 의의」(경북대 임효덕 교수)의 연제 발표가 있습니다. 제2부는 소암 선생님의 치료사례 청취로, 특히 환자와의 공감을 통한 주체성에 관한 자유로운 토론과 교육이 어떻게 환자에게 치료적으로 작용하는지를 생생하게 목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정신건강의 핵심은 주체성의 회복입니다. 본 학술연찬회를 통하여 우리의 주체성을 다시 한 번 점검하면서 소암 이동식 선생께서 주창하신 ‘도정신치료’의 의의를 깊이 되새기고자 합니다.
부디 많은 관심과 참여로 풍성한 학술연찬회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2015년 2월
한국정신치료학회 회장 김종호
■ 순 서
사회 : 이동우 (학술부장, 인제의대)
1:00 – 대회 등록 및 접수
1:30 - 1:35 개회사 : 김종호 (한국정신치료학회 회장)
제 1 부 초청 특강 및 연제 발표 좌장 : 최태진 (대구가톨릭의대)
최해림 (해인심리상담연구소)
1:35 – 1:40 격려사 : 강석헌 (한국정신치료학회 이사장)
∎ 초청 특강
1:40 - 2:30 한국 전통문화의 뿌리 정형진 (현우역사문화연구원)
∎ 연제 발표
2:30 - 3:00 외국인이 경험한 한국문화 장재홍 (서강대)
3:00 - 3:30 우리말의 특성과 정신치료적 의의 임효덕 (경북의대)
∎ 지정 토론
3:30 – 3:40 백영석 (원광의대)
∎ 질의응답 및 토론
3:40 - 4:00
4:00 - 4: 20 휴 식
제 2 부 소암 이동식 선생의 도(道)정신치료 사례 연구
좌장 : 김종호 (김종호정신건강의학과의원)
김연 (김연심리상담센터)
∎ 주체성에 대한 교육을 치료에 활용한 사례
(과다한 잡념을 주소로 하는 35세 남자환자)
4:20 - 4:30 사례 개요 및 경과 소개 신지영 (서강대 대학원)
4:30 - 5:20 면담 녹음 청취
5:20 - 5:30 치료 사례 해설 정성철 (정성철정신건강의학과의원)
∎ 전체 토의
5:30 - 6:0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