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연찬회 2013년도 제2차 학술연찬회 (2013년 8월 31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댓글 0건 조회 348회 작성일 21-08-10 17:12본문
학교폭력의 정신치료적 접근
▶ 일 시 : 2013년 8월 31일 (토) 오후 1시 ~ 6시
▶ 장 소 : 백범김구기념관 컨벤션홀
▶ 대한의사협회연수평점 : 4점
■ 초대합니다
안녕하십니까?
오늘날 학교폭력이 무분별하게 일어나며 심각한 수준이라는 것은 누구나 느낄 수 있습니다. 미래의 주역인 청소년들이 학교폭력의 수렁 속에서 신음하고 있는 것이 우리 사회의 현실입니다. 가해자, 피해자, 방관자, 모두가 인생의 피해자가 되며 심한 정신적 상처를 입고, 심지어 스스로 목숨을 끊는 경우가 발생하면서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에 정부에서도 학교폭력근절 종합대책발표, 학교폭력 실태조사, 학교부적응위기학생 지원, 학교폭력 예방지원강화, wee센터 상담 등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만 아직 갈 길이 먼 것이 사실입니다. 특히 아쉬운 점은, 다소 개선의 조짐이 보이긴 하지만, 학교폭력의 배후에 있는 정신건강의 문제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보다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학교폭력에 대한 정신치료적인 접근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하겠습니다.
한국정신치료학회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학교폭력의 임상적 원인 분석과 함께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정신치료를 공부하는 교사가 교육현장에서 경험한 학교폭력에 어떻게 대처하고 해결하였는지, 또 도정신치료의 창시자이신 소암 이동식 선생님께서 그 교사와 어떤 대화를 나누고 어떻게 지도하시는지를 경험하는 귀중한 시간이 될 것입니다.
우리 자녀를 위하고 국가의 장래를 짊어질 청소년들의 정신건강을 도모하기 위하여, 학교폭력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해결하는데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동참을 바랍니다.
2013년 7월
한국정신치료학회장 김 종 호
■ 순 서
사회: 이 동 우 (학술부장, 인제의대)
12:30 ~ 대회 등록 및 접수
13:00 개회사 : 김 종 호 (한국정신치료학회 회장, 김종호신경정신과의원)
제 1 부 학교폭력의 임상적 접근 좌장: 이영식 (중앙의대)
최태진 (인성병원)
13:10 격려사 : 강 석 헌 (한국정신치료학회 이사장, 강석헌정신치료연구소)
13:20-13:50 학교폭력의 실태 장재홍 (중앙대학교)
13:50-14:20 학교폭력 해결을 위한 임상가의 역할 신의진 (국회의원)
14:20-14:50 학교폭력의 임상적 고찰 백영석 (원광의대)
제 2 부 학교폭력의 정신치료적 접근 좌장: 곽영숙 (제주의대)
임효덕 (경북의대)
14:50-15:10 휴 식
15:10-15:50 현장에서 경험한 학교폭력과 그 해결 서명성 (갈산중학교)
15:50-16:30 학교폭력의 정신치료적 이해 <녹음 청취> 이 동 식 (정신치료연구원)
16:30-16:50 패널 토의 장재홍, 신의진, 백영석, 서 명 성
16:50-17:10 휴 식
제 3 부 소암 이동식 선생과의 대화 사회: 허 찬 희 (하나병원)
17:10-18:00 청중과의 질의응답 및 전체토의
▶ 일 시 : 2013년 8월 31일 (토) 오후 1시 ~ 6시
▶ 장 소 : 백범김구기념관 컨벤션홀
▶ 대한의사협회연수평점 : 4점
■ 초대합니다
안녕하십니까?
오늘날 학교폭력이 무분별하게 일어나며 심각한 수준이라는 것은 누구나 느낄 수 있습니다. 미래의 주역인 청소년들이 학교폭력의 수렁 속에서 신음하고 있는 것이 우리 사회의 현실입니다. 가해자, 피해자, 방관자, 모두가 인생의 피해자가 되며 심한 정신적 상처를 입고, 심지어 스스로 목숨을 끊는 경우가 발생하면서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에 정부에서도 학교폭력근절 종합대책발표, 학교폭력 실태조사, 학교부적응위기학생 지원, 학교폭력 예방지원강화, wee센터 상담 등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만 아직 갈 길이 먼 것이 사실입니다. 특히 아쉬운 점은, 다소 개선의 조짐이 보이긴 하지만, 학교폭력의 배후에 있는 정신건강의 문제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보다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학교폭력에 대한 정신치료적인 접근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하겠습니다.
한국정신치료학회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학교폭력의 임상적 원인 분석과 함께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정신치료를 공부하는 교사가 교육현장에서 경험한 학교폭력에 어떻게 대처하고 해결하였는지, 또 도정신치료의 창시자이신 소암 이동식 선생님께서 그 교사와 어떤 대화를 나누고 어떻게 지도하시는지를 경험하는 귀중한 시간이 될 것입니다.
우리 자녀를 위하고 국가의 장래를 짊어질 청소년들의 정신건강을 도모하기 위하여, 학교폭력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해결하는데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동참을 바랍니다.
2013년 7월
한국정신치료학회장 김 종 호
■ 순 서
사회: 이 동 우 (학술부장, 인제의대)
12:30 ~ 대회 등록 및 접수
13:00 개회사 : 김 종 호 (한국정신치료학회 회장, 김종호신경정신과의원)
제 1 부 학교폭력의 임상적 접근 좌장: 이영식 (중앙의대)
최태진 (인성병원)
13:10 격려사 : 강 석 헌 (한국정신치료학회 이사장, 강석헌정신치료연구소)
13:20-13:50 학교폭력의 실태 장재홍 (중앙대학교)
13:50-14:20 학교폭력 해결을 위한 임상가의 역할 신의진 (국회의원)
14:20-14:50 학교폭력의 임상적 고찰 백영석 (원광의대)
제 2 부 학교폭력의 정신치료적 접근 좌장: 곽영숙 (제주의대)
임효덕 (경북의대)
14:50-15:10 휴 식
15:10-15:50 현장에서 경험한 학교폭력과 그 해결 서명성 (갈산중학교)
15:50-16:30 학교폭력의 정신치료적 이해 <녹음 청취> 이 동 식 (정신치료연구원)
16:30-16:50 패널 토의 장재홍, 신의진, 백영석, 서 명 성
16:50-17:10 휴 식
제 3 부 소암 이동식 선생과의 대화 사회: 허 찬 희 (하나병원)
17:10-18:00 청중과의 질의응답 및 전체토의
- 이전글2013년도 제3차 학술연찬회 (2013년 11월 23일) 21.08.10
- 다음글제40차 정기총회 및 2013년도 춘계학술연찬회 (2013년 3월 23일) 21.08.1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